Q. 스마일라식 장비는 병원마다 같다고 하던데, 왜 수술 결과는 다를 수 있나요?
A. 이유는 ‘장비’가 아닌 ‘의사’의 역할 차이 때문입니다.
스마일라식이나 스마일프로 수술에 사용되는 레이저 장비는 전 세계적으로 동일합니다.
- 스마일라식: 비쥬맥스 500 (VisuMax 500)
- 스마일프로: 비쥬맥스 800 (VisuMax 800)
즉, 장비 자체에는 병원 간 차이가 없습니다. 하지만 장비가 해주는 역할과 의사가 하는 역할이 엄연히 다르기 때문에 수술 결과는 의사의 실력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.
스마일라식/스마일프로에서 ‘장비’가 하는 일은?
장비는 레이저를 사용해 각막 실질(lenticule)을 정확히 깎아내는 작업까지만 담당합니다.
의사가 수술 전 입력한 수치를 바탕으로 장비가 작동하고, 레이저 조사 후 렌티큘(각막에서 깎여 나온 조직 조각)이 만들어지면, 그 다음 단계부터는 전적으로 의사의 손기술에 의존합니다.
이 과정에서 활용되는 것은 노모그램(nomogram)이라는 데이터 기반의 가이드입니다.
전 세계 1000만 건 이상의 임상을 바탕으로 만든 이 자료를 참고해, 의사는 환자의 눈에 맞게 얼마나 각막을 깎을지를 판단합니다.
📌 관련 자료:
수술 결과를 좌우하는 ‘의사의 역할’은?
레이저 조사 이후 의사는 다음 두 가지 핵심 절차를 수행합니다.
1. 렌티큘 분리 (Spatula 사용)
레이저로 생성된 렌티큘의 상부와 하부를 스파출라(spatula)로 조심스럽게 분리합니다.
이 과정이 서툴면 각막에 상처를 줄 수 있고, 수술 시간이 늘어나며, 회복 속도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.
2. 렌티큘 제거 (Forcep 사용)
포셉(forcep)으로 렌티큘을 조심스럽게 꺼냅니다.
이 과정에서도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 수술의 완성도가 달라집니다.
렌티큘이 찢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섬세한 손기술이 요구됩니다.
실제 수술 과정을 보고 싶다면?
의사의 숙련도 차이가 수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다면 아래 수술 영상을 참고해보세요.
🔹 스마일라식 수술 영상 (압구정안과 고병우 원장):
https://youtu.be/b5epsIpHdq0?si=zNIkdtlxzfyNy-Sh
🔹 스마일프로 수술 영상 (아이리움안과 강성용 원장):
https://youtube.com/shorts/4RADQuudSBA?si=CN1enhLjYdiGCFNo
두 영상 모두 레이저 조사 이후의 과정(렌티큘 분리 및 제거) 을 확인할 수 있어, 장비가 아닌 의사의 기술이 왜 중요한지 체감할 수 있습니다.
결론
같은 장비를 쓴다고 해서 같은 결과가 나오지는 않습니다.
- 장비는 정해진 수치에 따라 각막을 깎는 역할만 합니다.
- 그 이후부터는 전적으로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.
특히 렌티큘 분리 및 제거 과정은 수술의 예후와 직결되므로, 스마일라식/스마일프로를 고려 중이라면 ‘어떤 장비를 쓰는 병원인가’보다 ‘얼마나 숙련된 의사가 직접 수술하는가’를 기준으로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